반응형
블로그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정보를 기록한다.
관리자 > 관리 > 블로그 > 주소 설정 항목
1. 기본 도메인
티스토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 주는 블로그 주소. URL
2019년 부터 SSL을 기본적으로 제공함,
2. 사이트맵 주소
위 기본 도메인을 토대로, 뒤에 /sitemap.xml을 붙여 티스토리에서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사이트맵 주소.
사이트맵 주소는, 블로그에 작성한 모든 글들의 주소를 저장하고있는 페이지 목록이라고 볼 수 있다.
실제로 해당 주소를 검색창에 검색하면,
위 처럼 목록이 쭉~ 나열된다.
3. 포스트 주소 숫자, 문자로 설정
남기게된 글들의 주소가 숫자 혹은 문자로 지정된다.
숫자 지정시,
내가 새로운 글을 작성하면, 해당 글의 URL은
xienote.tistory.com/62 << 이런 식으로 뒤에 숫자가 자동으로 붙는다.
문자 지정 시,
내가 새로운 글을 작성하면, 제목을 토대로 URL의 문자가 결정된다.
xienote.tistory.com/%AD%5BD << 이런 식으로 뒤에 문자가 뒤에 자동으로 붙는다.
숫자로 하면, 링크 전달하거나, 보기에 URL이 깔끔해 보이는 장점이 있고,
문자로 지정하면, 구글 SEO(최적화)에 더 유리하다는 의견이 있다.
반응형
'정리 작업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taGridView] AllowUserToAddRows Property (0) | 2023.04.19 |
---|---|
티스토리 RSS 설정, RSS란? (0) | 2023.02.09 |
Ajax 사용하기 (0) | 2023.01.16 |
서버-클라이언트 통신 이해하기 (GET) (0) | 2023.01.16 |
JQuery 기초 (0) | 2023.01.13 |